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

보라매공원 안내 지도 보라매공원은 공군사관학교가 떠난 자리를 1985년 12월 20일부터 보수하여 1986년 5월 5일 개원하였으며, 공군사관학교의 상징인 ‘보라매’를 이어 받아 지금의 공원 이름이 되었습니다. 서울 서남권을 대표하는 보라매공원은 동작구는 물론 관악구와 영등포구와 닿아 있어 많은 시민들의 휴식, 운동, 문화공간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보라매공원 안내지도, 사용설명서 바로보기 & 다운로드 보라매공원 안내지도 보라매공원 사용설명서 보라매공원 정보 홈페이지 : https://parks.seoul.go.kr/template/sub/boramae.do 면 적 :총 413,352m2 주요시설 : - 조경시설 : 잔디마당, 수경시설(연못, 벽천 등), 철쭉동산, 무궁화동산 등 - 운동시설 : 조깅트랙, 인조잔디축구장, 테.. 2022. 11. 3.
문화비축기지 안내 지도 마포구 서울 월드컵경기장 인근 매봉산에 에워싸인 ‘문화비축기지’는 일반인의 접근과 이용이 철저히 통제됐던 산업화시대 유산인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도시재생을 통해 시민 품으로 돌아오게 된 문화공원입니다. 1973년 석유파동 이후 76~78년에 5개 탱크를 건설해 당시 서울시민이 한 달 정도 소비할 수 있는 양인 6,907만 리터의 석유를 보관했던 마포 석유 비축기지는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안전상의 이유로 폐쇄됐는데, 10년 넘게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다가 지난 2013년 시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문화 비축기지로의 변신을 결정했습니다. 당시 석유를 보관하던 탱크들은 석유 대신 매일 색다른 문화를 창출하는 문화탱크로 역할이 바뀌었습니다. 기존 5개의 탱크는 열린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하였고, 해체된 탱크의 .. 2022. 11. 2.
남산공원, 둘레길 안내 지도 남산은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한 서울의 상징으로서 높이는 해발 265m로서 본래 이름은 인경산이었으나 조선조 태조가 1394년 풍수지리에 의해 도읍지를 개성에서 서울로 옮겨 온 뒤에 남쪽에 있는 산이므로 ‘남산’으로 지칭되었고 풍수지리상 안산으로 중요한 산이다. 나라의 평안을 비는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산신령을 모시는 신당을 세워 목멱대왕 산신을 모시고 있어 목멱신사라고 불리고 이때부터 인경산은 목멱산으로 불렸다. 1940년 3월 12일 공원으로 지정하여 1968년 9월 10일에 개원하였으며 1991년부터 8년간 “남산제모습가꾸기” 사업으로 공원 내 부정적 시설 89동을 이전하고 야외식물원을 조성하는 등 중구 예장동, 회현동, 용산구 한남동 일대를 대대적으로 복원, 정비하여 시민들에게 휴식과 맑은 공기를 .. 2022. 11. 1.
아기 개월별 표준 평균 몸무게 키 성장도표 성장도표는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신장, 체중 등 신체 계측치의 분포를 보여주는 백분위 곡선으로 저신장, 저체중, 비만 등 소아청소년의 성장상태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대한 소아과학회는 공동으로 1967년부터 약 10년마다 성장도표를 제정·발표하고 있으며, 2017년 12월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를 제정·발표하였다.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의 경우 3세 미만(0~35개월)은 최적의 성장환경에서 성장한 건강한 모유수유아만을 포함하여 산출하여 현재 개발된 성장도표 중 가장 표준에 가깝다고 평가받고 있는 WHO Growth Standards를 적용하였고, 이후 연령은 「2007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도표」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재 산출하였다.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2022.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