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 서울 월드컵경기장 인근 매봉산에 에워싸인 ‘문화비축기지’는 일반인의 접근과 이용이 철저히 통제됐던 산업화시대 유산인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도시재생을 통해 시민 품으로 돌아오게 된 문화공원입니다.
1973년 석유파동 이후 76~78년에 5개 탱크를 건설해 당시 서울시민이 한 달 정도 소비할 수 있는 양인 6,907만 리터의 석유를 보관했던 마포 석유 비축기지는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안전상의 이유로 폐쇄됐는데, 10년 넘게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다가 지난 2013년 시민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문화 비축기지로의 변신을 결정했습니다.
당시 석유를 보관하던 탱크들은 석유 대신 매일 색다른 문화를 창출하는 문화탱크로 역할이 바뀌었습니다. 기존 5개의 탱크는 열린 문화 공간으로 탈바꿈하였고, 해체된 탱크의 철판을 활용해 만들어진 T6는 시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이 됐습니다. 비어있던 야외 공간은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문화 마당으로 만들었습니다. 부지에 남아있던 수림은 최대한 보존하고 다양한 종류의 꽃과 나무를 심어 공원으로 조성했습니다. 매봉산으로 이어지는 산책로에서는 종종 산토끼와 청설모도 만날 수 있습니다.
문화비축기지 안내지도 바로보기 & 다운로드
문화비축기지 정보
- 홈페이지 : parks.seoul.go.kr/template/sub/culturetank.do
- 주 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증산로 87
- 문 의 : 02-376-8410
- 이용시간 : 10:00~17:00 / 월요일 휴무, 야외공원 상시 개방
- 이용요금 : 입장료 무료 / 오물조물 그림 심리 8000원, 이것도 업! 사이클링 8000원, 오롯이 콕! 직조 Life 8000원
공원 정보
T0. 문화마당(Culture Yard)
문화비축기지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공간으로, 시민들이 언제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광장입니다. 대규모 공연과 축제, 시장 등 매번 다른 얼굴로 시민들을 맞이합니다.
T1. 파빌리온(Glass Pavilion)
석유비축기지 시절에 휘발유를 보관했던 탱크입니다. 탱크를 해체하고 유리로 된 벽체와 지붕을 얹었습니다. 문화 통로를 지나면, 유리 파빌리온 공간에 들어섭니다. 이곳에서는 40여 년간 탱크를 둘러싸고 있던 매봉산의 암반을 오롯이 감상할 수 있습니다. 투명한 유리벽과 천장이 둘러싸고 있어 계절과 날씨, 시간에 따라 이루는 분위기가 매번 다릅니다. 전시와 워크숍, 공연을 진행하는 다목적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T2. 공연장(Stage)
경유를 보관하던 탱크가 야외무대와 공연장이 됐습니다. 입구부터 시작하는 야트막한 경사로를 따라 걸으면 자연스레 탱크의 상부에 도착합니다. 이곳은 탱크를 해체하며 외형을 새로 구축하지 않고 하늘을 향해 활짝 열어 두었습니다. 매봉산 암벽과 탱크를 감싸던 콘크리트 옹벽이 자연스러운 소리의 울림을 이루고 하늘과 바람, 산 등 자연이 공연의 일부가 됩니다. 탱크의 하부는 실내 공연장으로 마련했습니다.
T3. 탱크원형(Sustained Oil Tank)
석유비축 당시의 탱크 원형을 온전히 보존했습니다. 덕분에 석유비축기지가 세워진 역사적 배경과 당시 경제 상황을 되돌아볼 수 있습니다. 미래 후손들에게 남겨줄 귀중한 문화유산이기도 합니다.
T4. 복합문화공간(Culture Complex)
탱크 내부를 그대로 살린 공간입니다. 등유를 보관하던 이 탱크는 이제 복합문화공간으로서 공연과 전시, 체험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거대한 철제 외벽과 파이프가 석유로 가득 찼던 탱크의 옛 모습을 그려지게 합니다. 탱크와 외부 옹벽, 붉은색 소화액관을 따라 걷다 보면 탱크의 거대함을 문득 실감할 수 있습니다.
T5. 이야기관(Story Hall)
전시실로 구성된 이곳에는 석유비축기지가 문화비축기지가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둥그런 전시실을 한 바퀴 돌면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크고 작은 이야기를 차곡차곡 새길 수 있습니다. 석유비축기지 시절에 직원들이 사용하던 헬멧과 작업복 등을 전시해 더욱 생동감 있게 이야기를 전합니다. 이곳에서는 탱크의 안과 밖, 콘크리트 옹벽, 암반, 절개지를 온전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T6. 커뮤니티센터(Community Center)
T1과 T2를 해체하며 나온 철판을 활용해 새로운 건축물을 세웠습니다. 이곳은 운영사무실과 창의랩, 강의실, 회의실, 카페테리아 등 커뮤니티 활동을 위한 공간들로 이뤄져 있습니다. 2층에 올라서면 하늘을 둥그렇게 올려다볼 수 있는 옥상마루와 시민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작은 생태도서관 ‘에코 라운지’를 만날 수 있습니다.
운영시간
- 야외공원 : 24시간 개방(연중무휴)
- T1~T5 : 10:00~18:00 (월요일 휴관)
- ※공간 사용 일정에 따라 탱크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T6 및 카페 Tank6 : 시설보수로 인한 휴관(~'22.12월까지 예정)
교통안내
- 지하철
-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 2·3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
버스
- 710, 571, 6715, 7019, 9711A, 733, 271, 6715, 7011, 7013A, 7013B, 7019, 7715, 8777, 마포08 월드컵공원, 문화비축기지 정류장 하차
주차안내
-
운영시간
24시간 | 주차요금 과금시간 9:00~22:00(연중무휴)
-
이용요금
총 42면(장애인 주차 2면 · 임산부전용 · 여성우선 4면 · 1면 전기차전용 (충전시설 포함) 1면 포함)
-
이용요금
- 승용차 : 5분당 150원
- 중형차(11인승) : 5분당 300원
-
할인대상
- -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 80% 할인
- - 경형차 및 저공해차 | 50% 할인
- - 다둥이(두자녀) 차량 | 30% 할인
- - 다둥이(세자녀) 차량 | 50% 할인
- ※서울특별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적용
※ 주차공간 협소 및 주말 교통 혼잡으로 인하여 대중교통 이용 바랍니다.
카페(Tank6) 운영 안내
-
Cafe Tank6
- 운영시간 : 10:00~19:00(월요일 휴관)
- 카페위치 : T6 지하2F
이용 가이드
-
해설사와 함께하는 시민 투어
화~토요일 14:00, 16:00 (1시간 소요)- 서울시 공공 서비스 예약 사이트(yeyak.seoul.go.kr)에 ‘문화비축기지’ 검색 후 희망 날짜에 신청 바랍니다.
-
오디오 가이드
대여 가능 시간 10:00~17:00- 오디오 가이드를 통해 문화비축기지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 오디오 가이드 기기는 안내동에서 대여 가능하며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대여물품
- 유모차와 휠체어, 우산은 안내동에서 대여할 수 있습니다.
주변 여행지
- 서울에너지드림센터
- 국내 최초 에너지 자립형 공공 전시관. 우리 일상에서 대두되고 있는 에너지 낭비와 기후변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적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상설 전시가 마련되어 있다.
- 주 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증산로 14 (평화의 공원 내)
- 문 의 : 02-3151-0562
- 이용시간 : 09:30~17:30 / 월요일, 1월 1일, 명절연휴, 12월 12일 휴무
- 이용요금 : 입장료 무료 / 체험마다 비용 다름
- 홈페이지 : www.seouledc.or.kr
-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 일본군 위안부 생존자들이 겪었던 역사를 기억하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동하는 공간. 위안부 생존자들의 인터뷰 영상을 비롯해 당시 사진과 현재 사진 등이 전시되어 있다.
- 주 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11길 20
- 문 의 : 02-392-5252
- 이용시간 : 10:00~18:00 / 일·월요일, 공휴일 휴무
- 이용요금 : 어른 5000원, 청소년 3000원
댓글